
영상처리의 기초
- 영상처리란 입력받은 디지털 영상을 목적에 맞게 처리하여 개선된 결과를 얻어내는 과정임.
- 이 과정은 잡음(noise) 제거, 대비(contrast) 개선,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강조, 영역 분할(segmentation), 압축 및 저장과 같은 여러 단계를 포함함.
1. 저수준 영상처리
이 단계에서는 영상 획득, 향상, 복원, 변환 처리 및 압축과 같은 기초적인 처리가 이루어짐. 예를 들어, CCTV 영상에서 잡음을 제거하여 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얻거나, 의료 이미징에서 세부 사항을 더욱 명확하게 하는 작업이 여기에 해당함.
1. 고수준 영상처리(컴퓨터 비전)
영상의 의미를 분석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입니다. 이는 영상 분할, 표현, 인식 등을 포함하며, 자율 주행 차량에서 도로와 장애물을 인식하거나, 얼굴 인식 기술에 사용되는 알고리즘 개발 등에 적용됨.
영상처리의 역사
영상 처리의 시작- 영상처리의 초기 단계는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감. 당시 런던과 뉴욕을 연결하는 해저 케이블을 통해 신문사들이 사진을 전송하기 시작했음. 이것은 현대 영상처리 기술의 시초라고 볼 수 있음.
본격적인 영상 처리를 위한 기술 발전
- 1940년대에는 존 폰 노이만이 디지털 컴퓨터의 개념을 소개하면서 영상 처리 기술의 발전에 필요한 기반이 마련됨.
- 1950년대 이후로는 트랜지스터, 집적 회로(IC),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하드웨어 기술이 급속도로 발달했음. 또한, 이 시기에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운영체제 등의 소프트웨어 기술도 크게 발전했음.
본격적인 영상 처리의 시작
- 영상 처리 기술은 우주 탐사 계획, 특히 아폴로 계획과도 깊은 연관이 있음. 우주선에서 지구로 보내진 영상은 훼손되기 쉬웠고, 이러한 영상을 복원하는 연구가 영상 처리 기술의 발전을 촉진시킴.
1970년대 영상 처리 분야의 발전
- 1970년대에는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CT, MRI와 같은 의료 이미징 기술이 개발됨. 이는 의료 분야에서 정밀한 진단을 가능하게 만들었으며, 원격 자원 탐사와 우주 항공 분야에서도 크게 활용됨.
1990년대 컴퓨터 비전과 응용 분야의 급속한 확장
- 1990년대에는 인터넷 시대의 도래와 함께 영상 검색, 영상 전송, 영상 광고와 같은 새로운 응용 분야가 급속도로 확장됨. 디지털 방송, 컴퓨터 그래픽스, 디지털 카메라가 일반화되면서 손안의 핸드폰으로도 고품질의 영상을 촬영하고 공유하는 것이 가능해짐.
영상 처리 기술은 과학, 의료, 엔터테인먼트,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 깊숙이 자리 잡으며 우리 일상과 산업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침. 이제 영상 처리 기술은 단순한 이미지 향상을 넘어서 정보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영상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plotlib) 이미지 출력 (0) | 2024.05.21 |
---|---|
OpenCV 이미지 읽기 / 쓰기 (0) | 2024.05.17 |
영상처리 응용 분야 / 컴퓨터 비전 처리 단계 (0)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