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split 함수를 이용해 문자열 분리후 출력하는 연습을 해보았다.
spilt()만 입력할 경우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
split('t')를 입력할 경우에는 t를 기준으로 분리해낸다.
파이썬에서 문자열은 각각의 캐릭터(문자) 들의 시퀀스(순서)로 되어있다.
따라서 문자열에서 원하는 부분을 추출(뽑아냄) 할 수 있다.
하나의 문자만 추출하려면, 추출하려는 문자의 인덱스 숫자를 써준다.
인덱스는 항상 0 부터 시작한다.
따라서 a 가 인덱스 0 이고, z 는 인덱스 25 다.
또한, z 는 역순으로 하여 인덱스가 -1 이 되므로, -1 로 적어되 된다. 그러면 y 는 -2, x 는 -3 이 된다.
중요한 점
*콜론 왼쪽 숫자 = 우리가 추출하기 원하는 시작 인덱스
*콜론 오른쪽에 써주는 숫자 = 우리가 추출하기 원하는 끝 인덱스 + 1
- [:] 처음부터 끝까지
- [start:] start오프셋부터 끝까지
- [:end] 처음부터 end-1 오프셋까지
- [start : end] start오프셋부터 end-1 오프셋까지
- [start : end : step] step만큼 문자를 건너뛰면서, 위와 동일하게 추출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리스트 항목 추가/삭제 (0) | 2022.11.15 |
---|---|
파이썬 리스트 만들기 Python List(1) (0) | 2022.11.15 |
Python find함수 count함수 in함수 startswith함수 사용법 (0) | 2022.11.15 |
Python input / user input 함수 (0) | 2022.11.14 |
python print() 함수 (0) | 2022.11.14 |